본문 바로가기
국가 정책 & 제도 소식

전세 보증보험 필수 체크리스트

by 로컬팍 2025. 5. 2.

전세 계약을 준비하거나 갱신을 앞두고 있다면
'전세 보증보험' 가입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.

전세보증보험은
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,
보험사가 대신 보증금을 지급해 주는 안전장치입니다.

하지만 가입 조건과 주의사항이 까다로워
미리 체크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.

오늘은 전세 보증보험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
정리해드립니다.


전세 보증보험이란?

  • 가입자(세입자)가 보험료를 내고
  • 만약 집주인이 보증금을 못 돌려주면
    ➔ 보험사가 보증금을 대신 돌려주는 제도.

✅ 대표 상품

  • 주택도시보증공사(HUG) 보증보험
  • 서울보증보험(SGI) 보증보험
  • 한국주택금융공사(HF) 전세금 반환보증

전세 보증보험 필수 체크리스트

1. 전입신고 + 확정일자 필수

  • 반드시 계약 후 바로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 받아야 해요.
  • 이 두 가지가 있어야 보증보험 가입 가능!

2. 집 상태 확인하기

  • 근저당권(담보대출) 설정 여부 체크.
  • 전세계약일 기준으로 등기부등본 발급해서 꼭 확인!

3. 가입 가능한 집인지 확인

  • 공동주택(아파트, 연립, 빌라 등)은 거의 가능.
  • 다세대주택, 오피스텔도 가능하나
    ➔ 소형 오피스텔은 일부 보험사 거절하는 경우 있음.

4. 계약 기간 체크

  • 최소 1년 이상 남은 계약이어야 가입 가능.
  • 계약 만료 직전에 가입하려 하면 거절될 수 있어요.

5. 보험료 부담 감안하기

  • 보증금액과 보험료율에 따라
    ➔ 1년에 0.128~0.2% 정도 보험료 발생.
  • 예를 들어 보증금 2억이면 약 25만~40만 원 정도.

6. 집주인 동의 필요 없는 상품 선택하기

  • 일부 보증보험은 집주인 동의 없이 가입 가능!
  • HUG, 서울보증보험 모두 세입자 단독 가입 상품 있음.

7. 잔금 치르기 전 마지막 등기부등본 재확인

  • 계약한 후 집에 추가로 근저당권 생겼는지 꼭 다시 체크!

전세 보증보험 가입 팁

  • 가능하면 계약서 작성 후 1개월 이내에 가입 신청하기
  • 입주 전 잔금 지급 전에 미리 보험 상담받기
  • 보험료 납입일, 갱신 조건 등 꼼꼼히 확인!

마무리

전세보증보험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,
내 전 재산을 지키는 필수 방어막입니다.

계약할 때부터 꼼꼼하게 준비하고,
가입 전 체크리스트를 한 번 더 확인하면
혹시 모를 위험에도 든든하게 대비할 수 있어요.

안심하고 전세 생활을 시작해 보세요! 🏡